Skip to content

Conversation

@Mrbaeksang
Copy link
Collaborator

No description provided.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aiChat/tool/TourTool.kt

🟢 좋은점:

  • Kotlin 최적화 측면에서 문자열 연결(+ 연산자)을 사용해 description을 동적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BuildConfig 상수를 활용해 하드코딩을 피함. 이는 유지보수성을 높임.
  • ktlint 규칙 준수: 네이밍 컨벤션(파라미터명: contentTypeId, areaAndSigunguCode 등 camelCase)이 적절하고, 긴 description을 여러 줄로 나누어 가독성을 유지함. 포맷팅(들여쓰기, 괄호 배치)이 일관됨.
  • 변경 의도가 명확: @ToolParam의 description을 더 구체적이고 지시적으로 업데이트하여 AI 도구 호출 시 오용을 방지함 (예: 코드 매핑 예시 제공). 이는 코드의 기능성을 강화.

🟡 개선사항:

  • Kotlin 최적화: 긴 description 문자열을 + 연산자로 연결하는 대신, 텍스트 블록(""" """)을 사용하면 더 읽기 쉽고, 이스케이프 처리 없이 멀티라인을 지원할 수 있음. 예:
    description = """
        관광 타입 코드를 사용하세요. ...
        사용 가능한 타입 코드: ${BuildConfig.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
    """.trimIndent()
    
    이는 null safety나 when 표현식과 무관하지만, 문자열 처리 최적화에 해당.
  • getLocationBasedTourInfo 함수에서 mapX, mapY, radius 파라미터가 required = true로 설정되었으나 default 값이 할당됨. Tool 라이브러리(LangChain 등)에 따라 required와 default의 상호작용이 모순될 수 있으니, 문서화나 주석으로 명확히 설명 추가 고려.
  • 글로벌 익셉션 처리와 ApiResponse는 이 Tool 클래스(비-컨트롤러)에서 직접 적용되지 않으나, 상위 호출 시(예: 컨트롤러)에서 ApiResponse로 감싸는 것을 확인/권장.

🔴 문제점:

  • 없음. 변경사항이 안전하고 기능적으로 올바름. 다만, BuildConfig 상수(예: CONTENT_TYPE_CODES_DESCRIPTION)가 실제로 정의되어 있는지 빌드 시 확인 필요 (컴파일 에러 발생 가능성).

Copy link

@github-actions github-actions bot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 AI 리뷰 - src/main/kotlin/com/back/koreaTravelGuide/domain/ai/tour/service/TourService.kt

🟢 좋은점:

  • Kotlin 코드 스타일에 잘 맞게 @Cacheable 어노테이션을 적용하여 성능 최적화(캐싱)를 도입했습니다. 특히, key 생성 시 SpEL(Spring Expression Language)을 활용해 파라미터 기반으로 동적으로 키를 구성한 점이 적절하며, 메서드별로 별도의 캐시 이름("tourAreaBased", "tourLocationBased", "tourDetail")을 사용해 캐시 관리가 명확합니다. 이는 Kotlin의 간결한 문법과 잘 어우러집니다.
  • import 문이 필요한 부분만 추가되어 깔끔하며, ktlint 규칙(포맷팅, 네이밍 컨벤션)에 크게 위배되지 않습니다. 클래스와 메서드 네이밍(TourService, fetchTours 등)이 일관적입니다.

🟡 개선사항:

  • 키 생성 문자열이 길어진 경우(특히 fetchLocationBasedTours의 key), SpEL 표현식을 더 읽기 쉽게 리팩토링할 수 있습니다. 예: key = "T1:#tourParams.contentTypeId + '_A:' + #tourParams.areaCode + '_S:' + #tourParams.sigunguCode + '_X:' + #locationParams.mapX + '_Y:' + #locationParams.mapY + '_R:' + #locationParams.radius"처럼 구분자를 명확히 하거나, Kotlin 확장 함수나 유틸 메서드를 만들어 키를 생성하는 방식을 고려하세요. 이는 Kotlin 최적화(확장 함수 활용) 측면에서 더 나을 수 있습니다.
  • null safety를 강화하세요. TourParams나 TourLocationBasedParams의 필드(contentTypeId, areaCode 등)가 null일 수 있다면, key 생성 시 "#tourParams.contentTypeId ?: 'default'"처럼 Elvis 연산자(?:)를 사용해 기본값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는 null이 발생하면 캐시 키가 깨질 위험이 있습니다.
  • 테스트용 하드코딩 부분(if 블록)이 여전히 남아 있으므로, 프로덕션 코드로 전환 시 제거하거나 @Profile("test") 같은 조건부 로직으로 분리하세요. 이는 Kotlin의 when 표현식을 활용해 더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 ktlint 규칙 준수를 위해, @Cacheable의 key 매

Copy link
Collaborator

@YangHJ2415 YangHJ2415 left a comment

Choose a reason for hiding this comment

The reason will be displayed to describe this comment to others. Learn more.

ToorService에 저렇게 캐싱이 들어가는군요
확인 했습니다.!

@YangHJ2415 YangHJ2415 merged commit 5ee84fa into main Oct 1, 2025
1 check passed
@Mrbaeksang Mrbaeksang deleted the feat/be/76 branch October 1, 2025 10:38
Sign up for free to join this conversation on GitHub. Already have an account? Sign in to comment

Labels

None yet

Projects

None yet

Development

Successfully merging this pull request may close these issues.

3 participants